📌 switch문
switch문은 조건에 따라 각각 다른 처리를 해주는 문법이다.
📖 switch문의 구조
switch ( 조건을 확인 할 대상 )
{
case 조건1:
// 대상이 조건1에 해당할 경우 처리하는 구문
break;
case 조건2:
// 대상이 조건2에 해당할 경우 처리하는 구문
break;
default:
// case에 해당하는 대상이 없을 경우 처리하는 구문
break;
}
📖 switch문 예제
public enum TEST { A, B, C, D, }
TEST test = TEST.A;
switch (test)
{
case TEST.A:
Console.WriteLine("성적 : A");
break;
case TEST.B:
Console.WriteLine("성적 : B");
break;
case TEST.C:
Console.WriteLine("성적 : C");
break;
case TEST.D:
Console.WriteLine("성적 : D");
break;
default:
break;
}
[출력]
성적 : A
성적에 관련된 enum변수를 선언하였다.
초기값을 임의로 A로 초기화 하였으므로 test변수는 TEST.A가 된다.
여러가지 경우(case)중 첫번째 경우인 TEST.A에 해당되므로 "성적 : A"문구를 출력한다.
break;는 후에 배울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.
쉽게는 switch문을 즉시종료하는 기능을 한다.
📖 switch문 vs if문
if문의 경우 조건 분기가 적은 경우 작성하기도 유용하다.
하지만 조건 분기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작성하기도 힘들고 가독성도 떨어진다.
따라서 이런 경우 switch문을 사용한다.
'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y20_for문 (0) | 2023.03.14 |
---|---|
Day19_while문 (0) | 2023.03.14 |
Day17_if문 (0) | 2023.03.14 |
Day16_기타 연산자 (0) | 2023.03.14 |
Day15_비트 연산자 (1) | 2023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