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GMP
◼ 정의
GMP는 Good Manufacturing Practices의 약자로,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을 설정하는 가이드라인이다.
의약품은 사람의 질병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물질이므로, 제약회사는 이를 마음대로 제조할 수 없다.
의약품은 특정 가이드라인에 따라 생산되고 품질 관리가 이루어져야만 시중에 유통될 수 있다.
따라서, GMP는 의약품 생산과 품질 관리에 대한 중요한 기준서 역할을 한다.
◼ 종류
국가별로 규제 기관에 따라 GMP 규정이 다를 수 있으며, 각국에서 GMP를 부르는 명칭도 다를 수 있다.
하지만, GMP의 기본적인 원칙은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제조 및 관리 기준을 설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.
세부적인 요구 사항이나 명칭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,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다.
예를 들어, A라는 신제품을 제약회사가 개발하여 국내에 판매하고자 할 경우, 국내 의약품 규제 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(식약처)에서 발행하는 GMP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의약품을 제조하고 품질 관리를 해야만 국내에 판매할 수 있다.
반대로, 미국에 판매하고자 한다면, 미국 의약품 규제 기관인 FDA에서 발행하는 GMP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만 미국 시장에 판매할 수 있다.
국가별로 상이한 GMP 규정으로 인해 생산 공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공정 작업이 복잡해질 수 있고, 심지어 여러 공장을 운영해야 할 수도 있다.
그러나 실제로는 국가별 GMP의 기본적인 틀은 비슷하고, 차이가 나는 부분은 주로 품질 시험 방법이나 시험 횟수와 같은 세부 사항에 불과하기 때문에, 이러한 문제는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.
◼ 적용
실제 실무에서 GMP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생산 관리부
GMP 가이드라인에 따라 생산설비 관리 기준, 의약품 제조소의 청정도, 작업복 종류 등을 설정한다. - 품질 관리부
GMP 가이드라인에 따라 품질 시험 빈도와 시험 방법을 설정하고, 제조부터 품질 관리까지 전반적인 품질 수준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