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01. String Class String클래스는 java.lang패키지에 저장된 클래스이다. default 클래스이므로 import나 객체생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 Sting str = "java";📖 length()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메소드이다. System.out.println(str.length());[출력] 4📖 charAt() 문자열의 전달된 인덱스를 출력하는 메소드이다. System.out.println(str.charAt(1));[출력] a인덱스는 처음시작이 0이므로 1이라는 인자는 2번째 인덱스를 출력한다. 📖 equals() 두개의 문자열을 전달하여 해당 문자열이 같은지 비교하는 메소드이다. 결과값은 boolean형이다. System.out.println(str.equals(..
📌 01. 자바의 날짜 자바에는 날짜와 시간에 관련된 많은 클래스가 존재한다. 📖 timestamp 197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천분의 1초마다 1씩 증가하는 수치이다. 본래의 목적은 컴퓨터가 날짜를 처리하기 위한 특정값이 되는것이고 주 목적은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 코드사이의 중복 배제를 위해 사용된다. 계속해서 변하는 값이기에 timestamp를 선언한다면 코드가 중복될 일이 없고 랜덤값과 달리 그 값이 계속해서 변하더라도 적은 확률로 두 수가 중복될 일도 없다. 저번 자료형 공부할때 long자료형에서 잠깐 언급했었다. java.lang패키지에 저장되어 있는 System클래스의 메소드이기 때문에 따로 import할 필요는 없다. 1970년 1월 1일부터 1초에 1천씩 증가하는 수이기 때문에 실제로 ..
📌 01. 입/출력 클래스 자바에도 입/출력을 위한 여러 클래스가 있다. 실무에서 자바만 쓰는건 아니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진 않지만 자바를 익히기 위해서 알아둬야 한다. 📖 Scanner 클래스 Scanner클래스는 입력을 받기위해 사용하는 클래스이다. Scanner클래스는 java.lang패키지에 저장된 클래스가 아니므로 따로 import를 해주어야 한다.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Ex1_Scanner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} }Scanner클래스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sc객체를 생성해 주었다. 객체명은 반드시 sc일 필요가 없고 사용자..
📌 01. 조건문 📖 if문 if(조건식) {}"조건식을 만족하면 {}의 문장을 실행하라" 정확히는 조건식이 true이면 {}안의 문장을 실행하라는 뜻이다. int score = 60; if (score >= 60) { System.out.println("합격"); }[출력] 합격score변수의 값은 60이다. if문의 조건식인 'score >= 60'을 만족하므로 true가 되고 때문에 if문을 실행할 조건이 충족되었다. 따라서 {}안의 "합격" 이라는 문자열이 출력된다. 📖 else문 위의 if문에선 조건식이 true인 경우만 코드가 실행될 수 있다. 하지만 단지 true인 경우만을 생각해서 코드를 짠다면 제한이 생길 수 있다. 때문에 false인 경우를 생각하기 위해 else문을 사용..
📌 01. 산술 연산자 수학시간에 배우는 기본적인 사칙연산이다. int a = 7, b = 2; System.out.println(a + b); // 덧셈 연산 System.out.println(a - b); // 뺄셈 연산 System.out.println(a * b); // 곱셈 연산 System.out.println(a / b); // 나눗셈 연산 System.out.println(a % b); // 나머지 구하기[출력] 9 5 14 3 1위 기본적인 연산에서 주의깊게 볼 것은 나눗셈 연산이다. 7 나누기 2의 결과값은 정확히는 3.5지만 정수값인 3이 출력되었다. 이유는 자바에서 정수 나누기 정수의 결과값은 무조건 정수가 되기 때문이다. 연산을 수행할때 결과값이 어떤 자료형이 될지 알고 있어야 한..
📌 01. 타입이란? 타입은 말그대로 종류이다. 데이터에는 많은 타입이 존재하는데 각각의 타입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선 서로 다른 자료형을 필요로 한다. 데이터의 자료형에는 기본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이 있다. 📖 기본자료형 byte1바이트는 컴퓨터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이다. 때문에 자바코드 자체에서 변수를 저장할때 사용하기보단 자바 코드를 통한 파일을 만들때 주로 사용된다. 1바이트 크기의 _정수_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다. short아주 옛날엔 정수를 저장하기 위해 주로 short자료형을 사용하였지만 시대가 지나고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짐에 따라 메모리 성능도 좋아져서 short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. 2바이트 크기의 _정수_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다. int기본적으로 정수를 저장할때 주로 ..